<청년 ‘쉬었음’ 원인>
- 개인의 문제
1. 자기정체성 불확실
2. 일자리 부족으로 취업 불가하여 자존감, 무기력증의 악순환
3. 주변인들의 끊임없는 타인과의 비교
- 사회적 문제
1. 신입채용보다 월등히 경력채용을 원하는 일자리
2. 일자리 부족
3. 취업 시장의 양극화
- 직장 내 현실
1. 워라밸 추구
2. 직장 내 관계 어려움
3. 실제 거주지와 직장의 거리 차이
<청년 ‘쉬었음’ 해결방안>
- 개인의 노력
1. 상담센터 이용 (다면적 인성검사, U&I 검사, 심리검사 등)
2. 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 필요 (장&단점 등)
3.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 지 파악. 못 찾을 시 경험 먼저 쌓기
- 사회적 노력
1. 지역 내 직무/직군 별 “인턴십” 프로그램 운영
2. 대학 연계 직장 수 & 분야 다양화
3. 중•고등학교 자신의 잔공을 개발할 수 있는 정책
- 직장의 노력
1. 9 to 4를 향해 가는 것
2. 신입채용 강제법 (기업별로 분기마다 신입 00명 채용)
3. 중소 / 중견의 인식 변화 (복지, 급여 등)